커뮤니티
어린 아이는 돌보아야한다. 잘 돌보아야 한다.
그런데 아이가 점점 커서 사춘기가 되면아이는 자기 나름대로 뭔가를 시도합니다.
어릴 때는 따라 배우고 즉, 세살 때까지는 각인작용. 도장이 찍히듯이 바깥 사물이 뇌리에 꽂힌다.그래서 자아가 형성된다.네 살부터는 초등학교 까지는 따라 배운다.그대로 본받습니다.그래서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어릴 수록 환경이 중요하다.
맹모삼천지교…….시장에 가면 장사하는 흉내를 내고서당 옆에 가면. 공부하는 흉내를 내고.검소한 아이를 원하면아무리 재산이 많아도 생활을 아주 검소하게 해야 됩니다.정직하기를 원한다면 부모가 정직해야한다.그대로 따라 배우기 때문이다.
부모가 정직하지 못하면서 애를 보고 정직하라 하는 것은 절대 불가능합니다.부모가 사치하면서 검소하라고 하면 그것도 불가능합니다.그대로 따라 배우기 때문이다.과자를 먹다가 친구들이 집에 오면 치워라. 그러죠?이렇게 가르치면 영악해 질 수는 있지만 성인이 될 수 없다.친구가 도시락 반찬을 다 먹었다 하면 잘했다 다음엔 더 많이 싸줄게 이래야하는데.주지마라. 너 혼자 따로 먹어라 이렇게 가리키면
아이들이 훌륭하게 되기가 어렵다.
자녀가 아무리 훌륭하게 되기를 바라도여러분들이 살아가는 모습, 말하는 행동 그 범위를 못 벗어납니다.어릴 때는 좋은 것을 많이 보여줘야 한다.자가용이 있더라도 산책갈 때는 버스타고 가야해요.애들을 검소하게 키우기 위해 걸어가거나 버스타고 다녀야한다.
그런데 자기는 버스타고 다니면서 애들하고 갈 때는 택시타고 가고 자기는 기차타고 가면서 애하고 갈 때는 비행기 타고 간다면,자기는 애들에게 잘한다고 해 주니까 애는 그것이 습관이 되어 있다.자신의 카르마 업식이 되어 있기 때문에 달리 생각할 줄을 모른다.그래서 어릴 때는 잘 돌보아야 하고 좋은 것을 보여줘야한다.따라 배운다. 남의 것을 받아들여서 배워서 자기 것으로 삼는다.업이 형성된다.사춘기에 접어들면. 정신적으로도 주체의식이 생긴다.따라만 하는데서 자기 나름대로 생각하고 어른이 보면 저항하는 것 같다.
사실 저항하는 것은 아니다.
자기 나름대로 시도를 하는 것이다. 부모가 볼 때 어긋난 행동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그렇게 보면 안 된다.그 계기에 아이는 시행착오를 거듭하게 된다. 실패를 하게 된다.시행착오를 할 기회를 주어야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부모들은 봉쇄한다. 순종하도록 만 가리킨다.
시행착오를 해야 할 시기에 시행착오를 차단시켜버리면 주체가 형성되지 않으니까 무기력해진다.그때는 부모가 네 일도 제대로 못하냐? 방청소도 못하냐? 이불도 못 겨키냐?이래봐야 시기가 넘었다.
그래서 사춘기 때는 시행착오를 거듭할 수 있는 기회를
부모가 자식에게 주어야한다.사춘기 때는 부모가 자식에게냉정하게 대해야 한다.
여러 가지 자식의 어려움을 무조건 도와주고야단치고 하는 게 아니라 지켜보고 이 아이를 봐야한다.냉정하게 이 아이를 보아야한다. 어릴 때 돌봐줄 때는 따듯한 마음이 필요하고 사춘기 때는 지켜보는 것은얼음처럼 냉정하게.어릴 때 제대로 안돌 봐주고 직장 다닌다고. 팽개치고성질난다고. 성질 다 부리고 제대로 못 돌보아서 아이의 성장에 장애가 되고사춘기 때는 냉정하게 지켜봐 줘야하는데…….
어릴 때 보살펴온 습관대로계속 아이를 간섭하기 때문에 자생력, 자립심을 망가트린다.그러면 죽을 때까지 이 아이를 책임져야한다.연애할 때도 실패하면서도 사귀어야하는데.그것도 막아버리고. 친구 사귀는 것도 막아버리고면역력이 생겨야 되는데. 면역력을 다 없애버리니까온실 안에서 자란 사람처럼 밖에 가서 못살게 된다.평생 짐이 된다.결혼하면 손자도 봐 줘야해. 직장도 구해 줘야 해…….
집도 얻어 줘야해, 이혼하면 손자 책임져야해. 누가 그렇게 만들었느냐? 자신이 그렇게 만들었다.나빠서 그런가? 아니다. 어리석어서 그렇다.그래서 아이들에 대한 집착을사춘기의 아이들에 대해서 집착을 놓아야한다.그럴 때 잘 키울 수가 있다.인생의 원리를 알아야한다.부처님의 가르침은 인생의 원리다.이치. 그래서 법을 알아야한다.
법을 모르기 때문에쥐가 쥐약을 먹듯이 죽는 것을 사는 행위로 잘못알고 행한다.
불행을 초래할 일을 행복인줄 행한다.그래서 그 결과가 억울하게 된다.내가 의도한 일이 아니니까그래서 원망하게 된다. 그래서 화를 더 자초하게 된다.
어리석음에서 벗어나야한다.
인생의 지혜를 얻어야한다.어리석어서 지은 과보를 깨끗이 받아야한다.도망가고 피하려하지 말고…….복은 안 지어놓고 복은 제가 다 받으려한다.인과법에 어긋난다. 수행자는 이미 어리석어서 나쁜 인연을 지었으면 기꺼이 받을 마음을 가지면 똑 같은 일이 일어나더라도 괴롭지가 않다.
no. | 제목 | 작성자 | 조회수 | 작성일 | |
---|---|---|---|---|---|
공지 | ![]() | 수성팀장 | 70930 | 2022년 8월 10일 | |
공지 | ![]() | 부회장 | 94077 | 2020년 12월 11일 | |
공지 | ![]() | 부회장 | 94078 | 2020년 12월 11일 | |
공지 | ![]() | 부회장 | 93388 | 2020년 12월 11일 | |
공지 | ![]() | 부회장 | 94102 | 2020년 12월 5일 | |
공지 | ![]() | 이진화부회장 | 103351 | 2019년 4월 28일 |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 275-1 한국대중음악치유협회
TEL 053-746-7088 FAX 053-746-7088
Copyright ⓒ 2014 한국대중음악치유협회 All Rights Reserved.